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에 의해 '2014년 최고 발명품'의 하나로 선정된 '셀카봉'이 2015년 벽두부터 곳곳에서 '민폐 아이템'이 되고 있다. 3월 초 프랑스의 베르사이유궁전과 영국 런던의 국립미술관은 관광객들의 셀카봉 사용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파리 오르세미술관은 사진 촬영 자체를 금지한다. '르몽드'에 따르면, 루브르박물관과 퐁피두센터도 셀카봉 금지를 검토하고 있다.
구글이 이처럼 강력한 베팅을 할 수 있는 배경에는 특허 괴물을 죽이고, 제조업을 살리려는 미국 정부가 있다. 미국 대법원은 이미 2번의 대법원 판결을 통해 소프트웨어 특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추상적 개념과 비지니스 모델 특허를 무효화하는 데 성공을 거둔 바 있다. 이 2개의 역사적 대법원 판결은 "빌스키(Bilski)" 사건과 "엘리스(Alice)" 사건이다.
출발은 늘 그렇듯 호기심이었다. '사람 몸에 기술을 좀 더 밀착시키면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는 걸 넘어 학습까지 할 수 있지 않을까?' 예컨대 사람 손을 조종해 피아노를 치거나 그림을 그리게 하고, 반복 훈련을 거쳐 나중에는 로봇 없이도 피아노를 잘 치고 그림을 잘 그릴 수 있게 된다면? 마침 '웨어러블'이란 꼬리표를 달고 온갖 기기들이 앞다퉈 인체에 기술을 덕지덕지 붙일 때였다. 게다가 다타는 취미 수준을 넘어 직접 로봇을 만들어 쓰는 엔지니어이자 디자이너였다. 다타는 어린 시절 자기 손을 잡아 이끌며 알파벳을 가르쳐주던 선생님을 떠올렸다. 그는 '그림 가르치는 로봇 팔'을 직접 만들어보기로 했다.
이번에는 스타트업 붐의 중심이 팔로알토를 중심으로 한 실리콘밸리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완전히 올라오고 있다는 것을 실감한 것이다. 젠페이롤이란 스타트업의 에드워드 리 CTO는 "팔로알토에서 샌프란시스코로 일년 전에 이사왔다"며 "요즘은 인재를 구하는 데 있어서 시내에 있는 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다"고 말했다. 우버나 리프트, 스마트폰을 이용한 각종 배달서비스 등의 등장으로 옛날보다 차가 덜 필요해지며 도시생활이 휠씬 편리해져서 그런지도 모른다. 좋은 차를 갖는 것보다 스마트폰을 더 소중히 하는 젊은 세대들이 도시생활을 선호하게 된 것이다.
"판단의 어느 영역까지를 전문가나 외부에 위탁할 것인가"라는 문제는, 국가 최고지도자나 재벌 총수 같은 사람만이 아니라 어느덧 우리 모두가 일상에서 마주하는 상황이 됐다. 이미 우리는 많은 판단과 업무를 외부, 특히 나보다 잘 할 수 있는 기계에 의존하고 있다. 들고 다니는 또 하나의 두뇌라고 말할 수 있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덕분이다. 기억과 계산, 정보 분야는 이제 기계에 위임했다. 전화번호, 주소, 일정 등은 기계가 전담하고 있으며, 길 찾기나 금융상품 및 맛집 선택 등 판단의 영역도 기계의 추천에 따르고 있다.